한국의 개발자들을 위한 Google for Developers 국문 블로그입니다.
Google HackFair에 참여할 프로젝트를 모집합니다!
2012년 8월 9일 목요일
11월 14일 업데이트:
행사 참가 신청 받습니다~
10월 15일 업데이트:
참여 프로젝트 신청 접수를 마감합니다. 선정 결과와 행사 일반 참관에 관한 안내는 순차적으로 공지 드리겠습니다.
10월 11일 업데이트:
HackTime for Google HackFair 세번째
9월 19일 업데이트:
참가자 특전에 Google TV 제공 추가.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9월 12일 업데이트:
HackTime for Google HackFair 두번째
8월 30일 업데이트:
Google HackFair 소식을 주위에 알리고 초대권을 받아 가세요~
8월 24일 업데이트:
참가자 특전에 넥서스 7 제공 건 확정
8월 21일 업데이트:
HackTime for Google HackFair 첫번째 시도
Google HackFair 소개 및 취지
Google HackFair는 Android, Chrome, Go, Dart, HTML5, Google TV, NaCl 등 구글 기술을 이용해서 만든 다양한 결과물들을 전시하고 공유하는 행사입니다. 어떻게 하면 개발자들이 평소에 만들어 보고 싶은 것을 만들면서 기술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Maker Faire Seoul
과
Google I/O
로부터 영감을 얻어 마련한 것입니다.
좋은 개발자/엔지니어가 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뭔가를 직접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실수도 하고 실패도 하면서 배워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혼자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진행하면 혼자서는 겪을 수 없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더욱 좋은 개발자/엔지니어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해커톤
등의 기술 중심 행사와
Google Developer Group
활동, 그리고
국내 기술 커뮤니티 지원
을 통해 이러한 생각에 공감하시는 개발자/엔지니어 분들이 얼마나 계실지 다양한 형태로 확인해 보았는데 그러한 분들이 충분히 많이 계시고, 함께 더욱 재미있고 의미있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어 이렇게 Google HackFair라는 이름으로 조금 더 큰 자리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자로서, 엔지니어로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익히면서 평소 만들어 보고 싶었던 것을 즐겁게 만들며 열정을 불태워 보고 싶은 모든 분들을 초대합니다. 지금 당장 준비된 것이 없더라도 걱정하지 마시고 작게라도 일단 시작해 보세요. 기발한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구현을 통해 모바일/웹/클라우드 등 다양한 신기술들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느껴 보시고 그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보세요. Google HackFair는 11월 17일(토)과 18일(일)에 강남역에서 열리며 정확한 장소와 세부 내용은 추후 별도로 공지합니다.
Google HackFair에서 개발자/엔지니어 여러분들의 엉뚱한 기발함과 반짝이는 창의성을 마음껏 발휘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가자 특전
-
9월 19일 업데이트
: 참여 프로젝트로 선정된 팀 모두에게 Google TV 디바이스(로지텍 Revue)를 팀당 1대씩 드립니다.
-
8월 24일 업데이트
: 참여 프로젝트로 선정된 프로젝트 팀원 전원에게 넥서스 7과 기념 티셔츠를 기본으로 드립니다.
-
8월 24일 업데이트
: 우수 프로젝트 팀 1~2팀에게는 2013년 구글 I/O 티켓을 드립니다. (참고: 2013년 구글 I/O 행사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항공과 숙박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8월 24일 업데이트
: 프로젝트를 제출해 주신 모든 분들께는 참여 프로젝트로 선정되지 않더라도 기념 티셔츠를 포함한 기념품과 행사 참관권을 가장 먼저 보내 드립니다.
- 참여 프로젝트로 선정될 경우 팀원분들만을 위한 별도의 기념품들과 행사 기간 도중의 식사 일체를 제공하며 팀원들만을 위한 별도의 파티에도 초대드립니다.
- 참여 프로젝트로 선정되신 경우 서울/경기도 이외의 지역에 계시는 분들께는 행사 기간 동안의 교통/숙박을 모두 지원해 드립니다.
- 프로젝트를 제출해 주신 모든 분들께는 참여 프로젝트로 최종 선정되지 않았더라도 별도의 기념품과 행사 참관권을 가장 먼저 보내 드립니다.
우대 사항
- 창의적이고 실용적이고 재미있는 프로젝트인 경우
- 두 개 이상의 구글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경우 (예: Android + App Engine, Dart + HTML5)
- Android 앱 혹은 Chrome 앱 개발시에는 Google Play Store나 Chrome Web Store에 앱 등록을 완료한 경우 (유료/무료 관계 없음)
- 두 명 이상의 팀으로 개발한 경우
- 프로젝트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하는 경우
- 일찍, 자주 릴리즈하고 진행 경과를 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계속해서 공유한 경우 (공식 해쉬태그: #ghackfair)
-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경우
유의사항
- 행사 기간 동안 개발한 프로젝트를 전시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데모를 할 수 있는 상태까지는 개발이 되어야 하며
- 팀당 인원수는 최대 4명으로 한정하며 개발자가 50% 이상이어야 합니다. (팀원이 4명인 경우 개발자는 2명 이상, 팀원이 3명인 경우 개발자는 2명 이상, 팀원이 2명인 경우 개발자는 1명 이상, 팀원이 1명인 경우 개발자가 팀원)
- 행사 기간인 11월 17,18일 동안 최소 1명 이상의 팀원이 행사장에 상주해 주셔야 합니다.
- 개인이 아니라 회사나 단체에서 개발한 것도 출품 가능하며, 기존에 개발된 것이라도 다른 대회/공모전 등에 수상한 적이 없다면 출품 가능합니다.
- 프로젝트 결과물의 저작권/소유권 등 모든 관련 권리는 모두 프로젝트에 참가하신 분들에게 있습니다.
- 학생부와 일반부를 나누어 선정하며 선정되는 각 부문별 프로젝트의 개수는 추후 결정됩니다.
- 본 공지는 행사 참관 접수용이 아닙니다. 행사 참관 접수는 추후 별도로 진행합니다.
HackFair 논의
- 행사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여기에 올려 주세요~
프로젝트 제출
- 기한: 10월 15일 오전 10시. 선착순이 아니며 선정 결과는 추후 개별 통보 드립니다.
Google TechTalk: StackOverflow 커뮤니티 운영 사례 참석 후기
2012년 7월 30일 월요일
7시 즈음에 도착한 행사장소에서는 한참 참가자들과 커뮤니티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무선 마이크를 주고 받으며, 삼삼오오 테이블에 나누어 앉아 일반적인 회의실 공간이 아닌 열려있는 공간이 주는 편안함 속에서 어떤 분들이 오셨는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오셨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번 구글 커뮤티니 하반기 지원에 해당하는 커뮤니티의 운영자 분들을 메일링 리스트에서만 보다가 이렇게 서로의 얼굴과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마치 BBS 시절 동호회의 첫 정모에 나온 자리에서 서로 현실속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하는 어색함과 설레임이 공존하는 느낌이랑 비슷했습니다.
발표에 대해서는 일단 Cultural Anthropology 라는 제목에서 무엇인가 흥미를 느꼈습니다. 발표가 (아마도 Alex의?) 시작되고서 얼마지나지 않아,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슬라이드가 눈에 띄었는데요. 바로
홈브루 컴퓨터 클럽
의 사진이었죠. (이런 사진이었나요?
http://ed-thelen.org/
FireInValley92.html
벌써 가물가물합니다.) 그것을 보는 순간 어떤 문화에 대한 이야기인지 감이 딱 오기 시작했습니다. 이어지는 발표에 대해 기대가 되기도 했구요.
발표내용에서의 구체적인 토픽들은 아마도
첫 인상의 중요성. 사이트에 문화적인 동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여기가 어떤 사람들을 위한 공간인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투표 +1 을 하는 장치를 두어, 높은 숫자가 남들도 겪었을 가능성이 높은 문제니까 유용한 정보가 있음을 바로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뱃지를 활용해서 명성을 가지게 하여, 활동에 동기와 책임을 부여하기
커뮤니티 안에서 높은 명성을 가진 사람에게 중재자(moderator)의 자격과 권한을 부여하기
운영 원칙: 진짜 질문(Real Question)과 진짜 답변(Real Answer), 개발에 대한 질답만이 유통되도록 하고, 다른 질문들은 막기
등이라고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사실 발표 내용은 지난 2월에 온라인에 올라온 조엘 스폴스키의 Cultural Anthropology of Stack Exchange
http://vimeo.com/
37309773
,
http://www.youtube.
com/watch?v=r8D3KxkhvNc
와 거의 같습니다.
비메오 버젼 영상의 마지막 멘트가 인상적인데요. 스택오버플로우의 인구가 서울의 인구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굉장히 많은 서로 다른 사람들, 그들의 문화, 많은 빌딩 들 속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문화는 바로 찾고자 하는 문제의 답을 얻을 수 있도록 서로 돕는 문화라는 것 같아요. 메인프레임 시절과 다르게 프로그래머는 더 이상 계산만을 수행하는 존재들이 아니죠. 오늘날의 문화를 창조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사람들이라 주장합니다. 우리의 미래를 발명하는 것에 대해서 (아마도 앨런 케이가 했던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invent it 를 응용한 느낌이 납니다) 이야기를 하며 마칩니다.
문화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of Stack Exchange
)이라는 어찌보면 거창할 수도 있는 발표제목을 선정하고 주제로 삼은 것은, 아마도 그들이 그 만큼 개발자들 그리고 그들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애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문득 합니다.
알렉스의 발표를 듣고서는 질문을 주고 받는 시간이 있었구요. 저는 이 시간이 지나고 개인적으로 찾아가서 "어느 커뮤니티나 생명주기가 있다고 볼 수 있을 텐데, 스택오버플로우의 '끝'에 대해서 생각해 보거나 준비하는 것이 있는지? 혹시 끝의 시작이 되는 신호가 있다면 무엇인지?"를 질문했었는데요. 요즘 해커뉴스가 좀 주춤인다는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었으나, 발표모드가 끝난 뒤의 빠른 말을 충분히 잘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하하하. 결론은 '나도 잘 모르겠다' 정도이긴 했지만요. 질문에 대한 답을 잘 캐치하지는 못했지만, 어쩌면 그 것은 제가 누군가의 답이 궁금했다기 보다는 스스로에게도 해보고 싶은 질문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질의 응답 시간이 끝나고서는 GDG 쪽 미팅이 연이어 있었지만, 여기저기 인사하는 분위기에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제가 좀 더 적극적이었고,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면 이 커뮤니티 저 커뮤니티 기웃거리면서 인사와 이야기 나눔을 좀 더 했었을 텐데, 행사가 끝나고 나니 9시가 넘고 갈길이 먼 곳에 사는지라 아쉬움을 뒤로 하고 일어서야 했었습니다. 뒷풀이라도 한번 분위기를 몰아봐야 했었을까요?
개발자들의 문화 안에서 다양한 커뮤니티들이 자생하고 있을텐데요. 이번 구글의 커뮤니티 지원을 통해서, 인접한 주제와 문화나 아니면 꽤 거리가 있는 주제와 문화를 가진 커뮤니티들이 무엇이 있는지 관심과 지평이 넓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물론 각자의 활동이 더 당면과제일 수 있기 때문에 오지랖을 넓혀가며 긴밀한 관계맺기를 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의미있는 일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누군가 비슷한 맥락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인사 나눌 수 있는 것 만으로도 뭔가 에너지가 올라가는 기분이 되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후기를 써서 공유하는 자발적인 책임을 지는 것도, 커뮤니티에 기여하며 무형의 뱃지를 획득하는 일이 될까요? 아직 어떤 동기가 더욱 부여되는 일이 벌어질지는 모르겠지만, 권순선 부장이 누누히 말씀하시는 로지스틱스에 대한 피드백이 아니라, 어떤 일이 벌어졌을 때 그 것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를 더 나누게 되면, 그런 일들과 기회가 보다 더 창출되길 일어나길 기대하며 지원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곳(어디가 되었던)에서도 더 신바람이 나겠지요~
스택오버플로우의 발표를 듣고 돌아오는 길에 들었던 생각이 있습니다. 우리 사회 속의 개발자 문화, 커뮤니티 속에서 사회에 대한 분노와 원망, 한바탕 해놓고 보면 괜히 자존감만 더 떨어지는 소모적인 화두가 아니라, 각자의 자리에서 사소하지만 의미있게 던질 수 있는 질문, 그래서 작게나마 세상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질문의 개발이 참 중요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질문이 공유될 수 있는 플랫폼이 있고, 여기에 대해 맥락을 유지하며 진지하게 응하고 나름의 답을 해주려는 노력과, 그 기여에 대해 격려하고 칭찬하며 권한을 줄 수 있는 참여적인 문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 후대에도 물려줄 만한 문화적 자산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장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면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인상과 에너지를 받을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이 기회를 나눠주신 분들께, 편안한 자리 만들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글쓴이:
뉴미디어와 교육 커뮤니티
운영자 최승준님
지역 GDG 설립을 위한 예비 모임을 가져볼까 합니다~
2012년 7월 21일 토요일
이미 기사를 보신 분들도 계실텐데 구글 코리아는 지난 7월 18일에 기자 간담회를 갖고 그동안 진행된 다양한 개발자 지원 정책들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였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1
2
3
4
5
6
7
8
9
)
그때 말씀드렸던 것들 중 하나가
GDG (Google Developer Group)
를 전국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었는데요. GDG뿐만 아니라 IT 업계의 대부분 활동들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고, 지역에 있는 개발자/엔지니어 분들에게도 뭔가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전/대구/부산/광주/인천 등 먼저 광역시 단위로 GDG를 확대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현재 서울과 수원에 공식적으로 GDG가 만들어져 운영되고 있고 안드로이드, 크롬, Dart, Go 등의 기술별 커뮤니티 및 학교별로 활동중인 커뮤니티들이 있어 조만간 공식 GDG로 등록될 예정입니다.)
지역의 상황은 어떤지 확인도 해볼 겸 해서 지난 3월에
부산에서 해커톤
을 한 적이 있었는데 참여 인원의 열기나 결과물의 참신성/품질 등에 있어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잘 하고 열심히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런 분들이 지역 내에서 더욱 많이 교류하고, 더 나아가 지역과 지역 간에도 교류가 확산된다면 개인 뿐만 아니라 업계의 발전에도 의미있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역 내에서도 GDG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선 관심있는 분들과 함께 해당 지역에서 예비 모임을 가져 보고자 합니다. GDG나 그외 구글의 개발자 지원 관련 활동에 대해 제가 직접 소개를 드리고, 이에 대해 평소 가지고 계셨던 궁금하신 점과 또 이를 더욱 잘 진행하기 위해 개선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편하게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하니 관심있는 분들은 부담갖지 마시고 신청해 주세요~
잠정적인 모임 일정은 8월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모임 일정은 이번 조사를 통해 수요를 확인한 후 확정합니다.
- 모임은 해당 지역(대전/대구/부산/광주/인천)에서 진행됩니다.
- 정확한 일정과 장소가 정해지면 기록해 주신 연락처로 초대 메일을 보내 드립니다.
- GDG 설립/운영이나 참여 여부는 나중에 결정하셔도 무방하니 관심이 있으면 부담없이 신청하세요~
-
접수는 7월 27일 아침 10시까지
받겠습니다.
신청하기!
한국의 커뮤니티 운영자 분들을 위한 Google TechTalk: StackOverflow의 커뮤니티 운영 사례
2012년 7월 20일 금요일
한국의 커뮤니티 운영자 분들을 위해 "StackOverflow.com의 커뮤니티 운영 사례"라는 주제로 Google TechTalk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Stack Overflow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커뮤니티이며 조엘 온 소프트웨어로 유명한 조엘 스폴스키가 세운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코리아는 지난 7월 18일에 기자 간담회를 갖고 그동안 진행된 다양한 개발자 지원 정책들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면서 2012년 하반기 개발자 지원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가 '커뮤니티'임을 명시한 적이 있었는데요. (관련 기사 링크:
1
2
3
4
5
6
7
8
9
)
때마침 Stack Overflow의 담당자가 다른 일로 한국을 방문하는 길에 원래 만나기로 되어 있었는데 국내 커뮤니티들의 발전과 도약을 위한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이같이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구글의 개발자/커뮤니티 지원과 관련한 발표 시간도 아울러 포함되어 있으니 커뮤니티 운영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Session Abstract
Like all communities, Stack Overflow has a unique culture to it. But what isn't as well known is how the structure of the software and technology behind Stack Overflow is designed to help shape that community. We'll discuss some of the unique aspects of the Stack Overflow community, the basics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how we've designed the sites to facilitate the community that our users ask for.
Speaker Bio
Alex is the Chief of Staff for Stack Exchange (the makers of Stack Overflow, Server Fault, Super User and your other favorite Stack sites), handling special projects and new initiatives. Before joining Stack Exchange, Alex was the VP of Operation at Yext (a local advertising startup) and before that helped launched and produced properties such as This Week in Startups, TechCrunch50, Open Angel Forum and more.
-일시: 2012년 7월 27일 금요일 오후 6시 ~ 9시
-장소: 구글 코리아
: 저녁 식사(6시 ~ 7시)가 제공되며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는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 본 행사는 현재 커뮤니티를 직접 운영하고 계신 운영자 분들만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운영자가 아닌 일반 개발자 분들은
이곳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본 행사는 위의 행사와 무관하며 처음부터 별도로 준비되어 온 것입니다.
: 영어로 진행되며 통역은 제공되지 않으나 최대한 천천히 발표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 선착순이 아니며 수용 인원에 제약이 있어 참가자로 선정되신 분들께 별도로 연락을 드립니다.
: 참가 신청은
7월 23일 월요일 오전 10시
까지 해 주세요.
참가 신
청하기!
[GDG Summit 후기] 개발자의, 개발자에 의한, 개발자를 위한
2012년 7월 9일 월요일
안녕하세요. Google Developer Group(이하 GDG) Suwon 운영을 하고 있는 이원제 입니다. 이번 Google I/O 2012 행사에 앞서 GDG 운영자 모임인 GDG Summit에 참석했습니다. 세계 각지의 개발자 모임을 운영하는 운영자들을 만나고 나누었던 정보들을 기억하고자 이렇게 후기를 작성합니다.
GDG는 구글 제품 기술-Android, Chrome, AppEngine 등등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들의 모임입니다. 국내에는 현재 서울, 수원 두곳의 지역 GDG가 있고 Android, Go, Dart, App Engine 등의 기술기반 그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국내와 마찬가지로 GDG는 전세계에 조직이 되어 각 그룹별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Summit에서는 각 그룹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과 개선을 위한 의견들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World Wide Group들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모임이라 기본적인 고민거리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비슷한 것들이었습니다. 몇가지 소개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 어떤 행사를 조직해야 즐거운 마음으로 참가한 사람이 즐거운 마음으로 돌아갈 수 있는지
- 행사에 참여하는 개발자의 능력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는지
의견들은 우리가 모임을 가질때 겪는 고민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이외에도 GDE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공유와 신생 GDG들의 성장을 위한 노하우 공유등 다양한 주제로 세션을 만들어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모두들 진지하고 열성적으로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GDG Summit에서는 대륙별 GDG간의 의견들도 나누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우리나라가 속한 아태평양 그룹 - 한국,중국,일본,인도,호주,대만,필리핀 에서는 Cross Country 세미나에 대한 주제로 이야기가 이뤄졌습니다. 일단 Offline의 행사보다 Hangout을 이용한 국가별 기술 공유 세미나를 시도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아직 현실적으로는 시간, 언어적인 문제에 대한 고려가 더 진행되어야 하겠지만 지역별로 시도해본 이후에 글로벌 온라인 세미나가 금방 만들어지기를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주제를 가지고 BarCamp 형태의 세션을 모두 마친 이후에는 저녁 식사를 하면서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부는 각 나라에서 가져온 기념품을 나누기도 하고, 지역에서 유명한 술을 가지고와서 서로 한잔씩 시음하면서 이야기도 하는 등 소통을 하는 방법도 여러인종이 모인 만큼 정말 다양했습니다. 이렇게 서로 만남에 대한 반가움과 다시 흩어져야하는 아쉬움을 사진촬영으로 달래면서 짧지만 강렬했던 모임의 끝을 정리하였습니다.
GDG Summit을 참가하고 느낀 점은 “개발자 문화”는 개발자가 만든다는 당연한 명제를 다시 확인한 것입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국내 개발자 문화의 문제로만 느꼈던 것들이 세계적인 공통점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는 조금 여유로운 마음도 생겼습니다. 사실 저 같은 경우에는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개발자 문화가 많이 낙후되어 있다는 사대주의적 발상을 조금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을 계기로 개발자 문화라는 것이 어느 것이 뛰어나고 덜 뛰어나고 하는 것은 없다는 것을 느꼈고 그 문화의 선진성은 개발자 개개인의 능력보다 개발자들이 얼마나 서로를 존중하며 자신의 가치를 폄하하지 않는 개발자 생태계를 가지느냐라고 느꼇습니다. 우리나라의 개발자들의 능력은 세계적이지만 처우나 환경이 뒤쳐진다고 느껴지는 것은 우리의 개발자 문화가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반증입니다. 미국의 개발자 환경이 뛰어나고 개발자의 가치가 높게 느껴지는 것은 남이 만들어 준 것이 아닌 그들이 만들어낸 문화의 결과물인 것 입니다. 단지 우리가 부러워하면서 누군가 그런 환경을 만들어 주기를 기다려서는 정말 가지기 힘든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근래에 들어 개발자 문화와 환경에 대한 자조적인 이야기와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여기저기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 노력들이 흩어져서 사라지기 전에 좀 더 나은 개발자 문화를 누리기를 원하는 개발자 - 우리들이 한발 나서서 능동적으로 참여해야합니다. 그리고 서로의 기술에 대한 나눔 뿐만이 아닌 환경에 대한 나눔도 이뤄지는 생태계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램임니다.
“나는 개발자다.” 라고 생각하시는 여러분들의 주변을 돌아보시면 이러한 소통의 창구가 여러 곳에 존재합니다. 지금 실천을 시작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재능과 고민을 나눔으로써 서로 한단계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구글 개발자 모임 공식 홈페이지 :
https://developers.google.com/groups/
GDG Suwon 홈페이지 :
http://gdg-suwon.blogspot.kr/
GDG Suwon 그룹스 :
https://groups.google.com/forum/?hl=ko&fromgroups#!forum/gdg-suwon
일년 내내 Google Developers Live를 즐겨보세요~
2012년 6월 20일 수요일
Google I/O
는 저희의 기술들이 새로운 생명을 얻는 곳입니다. 다음주에 3일간 열리는 이 행사를 통해서 여러분들께서는 처음으로 시연되는 새로운 기술들을 만나게 될 것이며 코드 뒤에 있는 구글러들로부터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도 하고 저희의 기술을 이용해서 비즈니스를 창출한 파트너들도 만나보시게 됩니다.
I/O Live
를 통해 Google I/O 행사를 전세계의 개발자들에게 전달해 드릴 텐데 I/O 기간 동안 뿐만이 아니라 그 이후에도 일년 내내 매일매일 구글 개발자 커뮤니티로부터 나오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사람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구글의 개발자들과 구글 바깥의 다른 여러 동료 개발자들을 여러분들과 서로 연결하면 모두가 훨씬 더 좋은 결과물들을 만들어 내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
Google Developers Live
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것은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개발자들로 가득한 게임 쇼나 여러분들이 이용하는 구글 제품들을 개발하는 엔지니어들과 직접 이야기하실 수 있는 Office Hours등 여러가지 다양한 내용들이 생방송으로 인터랙티브하게 진행되는 공간입니다.
Google Developers Live는 안드로이드에서 유튜브에 이르기까지 오늘부터 시작되는 기본 세션들은 물론이고 다음주에 제공될 심화 세션들을 통해 Google I/O의 흥분을 일년 내내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그리고 시청 후 혹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Office Hour를 통해 직접 질문을 하실 수도 있고요.
http://developers.google.com/live
를 즐겨찾기에 추가하시고 Office Hour, 앱 리뷰, 프로그래밍 세션 등 다른 여러 구글 제품 관련 세션들을 캘린더에 등록하세요.
Android
,
Chrome
,
Google+
,
Drive
,
Cloud Platform
,
Google Maps
,
YouTube
혹은 다른 어떤 것들을 찾으시더라도 일년 내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글쓴이
Louis Gray
는 구글의 Developer Relations 팀의 프로그램 매니저입니다. Google Developers Live를 맡고 있으면서 구글 개발자 제품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습니다.
2012년 하반기 한국 커뮤니티 모임 지원 프로젝트 안내
2012년 6월 18일 월요일
2012년 하반기 지원 대상 선정은 끝났으며 다음번 모집은 2013년 1월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
2012년 하반기 지원 대상 커뮤니티 목록
-
2012년 하반기 이용 현황
2012년 상반기
에 이어 하반기에도 커뮤니티 모임 지원 프로젝트를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커뮤니티에서 멤버들 간의 다양한 교류는 커뮤니티에 활력을 주고, 멤버 개개인들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형태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세미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러한 모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자리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나누는 것 뿐만 아니라 같은 관심사를 가진 이들을 만나고 서로에게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끼는 것은 작게는 해당 커뮤니티의 발전만이 아니라 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커뮤니티들이 좀더 잘 운영되고 또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주 작지만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마련해 보았습니다. 바로 커뮤니티 세미나 혹은 모임 장소에 대한 지원입니다. 아래 조건에 해당되는 커뮤니티 중에서 지원이 필요하시면 주저 마시고 바로 연락 주세요.
지원 대상
- 오픈소스 관련 커뮤니티
- 오픈 웹 & 웹 기술 관련 커뮤니티
- 구글 기술 관련 커뮤니티 (예: 안드로이드, 크롬, AppEngine...)
- 그외 기술을 개발하고 공유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활동하는 커뮤니티
- 공통사항: 독점 소프트웨어(proprietary software) 혹은 독점 기술과는 관련 없는 커뮤니티
- 공통사항: 인터넷 상에서 가입 & 탈퇴가 자유롭고 인터넷에 그 활동이 공개되어 있는 커뮤니티
지원 내용
-
CNN the Biz
전 지점 자유 이용권: 강남, 선릉, 신촌 등
- 이용시간 동안의 간단한 식사 (음료는 기본 포함)
- 프로젝터 등 부대 장비 대여
이용 조건
- 공개 세미나 또는 내부 모임시 이용 가능
- 세미나 혹은 모임에 대한 사전 공지와 사후 공지를 인터넷 상에 공개
-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커뮤니티들의 전체 목록과 커뮤니티별 이용 현황 정보를 인터넷 상에 공개
지원 내용, 이용 조건 등은 이용하시는 커뮤니티 운영자 분들과 협의하여 계속 개선해 나갈 예정입니다.
FAQ
Q: 자유 이용권이란 무엇인가요?
A:
CNN the Biz
전 지점
을 정해진 시간 동안 자유롭게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인터넷 상에서 직접 예약하실 수 있게 해 드립니다.
Q: 지원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A: 선정되시면 2012년 12월까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 이용 가능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A: 월 100시간(예: 50명 모임 2시간 혹은 20명 모임 5시간) 범위 내에서는 커뮤니티별로 자유롭게 이용하시고 시간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는 내부 협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Q: 유료 세미나도 지원해 주시나요?
A: 참가자들로부터 참가비/수업료 등을 받거나 강사료를 별도로 지급하는 경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Q: 커뮤니티 회원끼리만의 세미나나 모임도 이용 가능한가요?
A: 커뮤니티의 가입이 개방되어 있고 동일하게 모임 전/후에 사전/사후 공지를 인터넷에 공개하는데 동의하신다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Q: 모임 관련 사전 공지와 사후 공지 및 이용 현황을 인터넷에 공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모임의 투명성을 높여 각각의 커뮤니티 운영자 분들께서 최대한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Q: 신청만 하면 모두 지원 대상에 포함되나요? 나중에 추가로 신청할 수 있나요?
A: 지원하시는 분들이 많을 경우 모두를 수용하지 못할 수 있으며(그럴 가능성이 큽니다.)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지 못하신다면 다음번 신청 기간(2013년 1월 예정)에 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자 그럼 이제 이용 신청을 하실 준비가 되었나요? 그렇다면
6월 22일 오전 10시까지
이곳을 통해 신청
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디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와 이용 부탁드리며 이 시도가 한국의 기술 커뮤니티 발전에 작지만 의미있는 결실로 맺어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Contents
ML/Tensorflow
Android
Flutter
Web/Chrome
Cloud
Google Play
Community
Game
Firebase
검색
Tag
인디게임페스티벌
정책 세미나
창구프로그램
AdMob
AI
Android
Android 12
Android 12L
Android 13
Android 14
Android Assistant
Android Auto
Android Games
Android Jetpack
Android Machine Learning
Android Privacy
Android Studio
Android TV
Android Wear
App Bundle
bootcamp
Business
Chrome
Cloud
Community
compose
Firebase
Flutter
Foldables
Game
gdg
GDSC
google
Google Developer Student Clubs
Google I/O
Google Play
Google Play Games
Interview
Jetpack
Jetpack Compose
kotlin
Large Screens
Library
ma
Material Design
Material You
ML/Tensorflow
mobile games
Now in Android
PC
Play Console
Policy
priva
wa
wear
Wearables
Web
Web/Chrome
Weeklyupdates
WorkManager
Archive
2025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24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23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22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21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20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9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8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7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6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5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4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3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2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3월
2월
1월
2011
12월
11월
Feed